오늘은 JOIN 쿼리 (INNER JOIN, LEFT JOIN 등)과 관련하여 GPT와 함께 예제를 풀어볼 예정이다.
어떤 데이터를 사용해야 할 지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명시해주었다.
👉 예제 및 답안
난이도 하
난이도 중
SQL 초보자인 나는 무슨 소리인지 이해가 안 가서 GPT에게 예시를 들어 설명해달라고 했다.
이 결과에서 total_order_amount가 500으로 계산된 이유는, JOIN으로 인해 각 방문 기록이 각 주문과 결합되었기 때문입니다:
- 방문 1 (2023-01-05) + 주문 1 (100) = 100
- 방문 1 (2023-01-05) + 주문 2 (150) = 150
- 방문 2 (2023-03-10) + 주문 1 (100) = 100
- 방문 2 (2023-03-10) + 주문 2 (150) = 150
이렇게 되어 **총합이 500(100 + 150 + 100 + 150)**으로, 실제 주문 합계인 250(100 + 150)보다 크게 계산됩니다.
이렇게 된다는 것,,,
이렇게 서브쿼리를 써야 맞는 결과가 출력된다고 한다
실제로 실행이 되는지 안되는지 내 눈으로 직접 확인하고 싶은데 이러한 실습환경은 없어 조금 답답하다
난이도 상
이것도 위와 똑같은 이유로 잘못되었다고 한다.
👉 회고
- 두 테이블을 연결하는 조인문은 이해가 되지만 테이블 수가 3개 이상이 되면 어려워지는 거 같다.
세 개 이상의 테이블에서의 조인문 공부를 좀 더 해야할 거 같다.
그리고 GPT가 말한 문제가 아직 확실하게 이해가 되진 않아서 좀 더 공부해봐야 할 거 같다.
'SQL > chat GPT랑 같이 하는 SQ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hat GPT랑 같이 하는 SQL 공부] - 서브쿼리 (Subquery) (0) | 2024.11.05 |
---|---|
[Chat GPT랑 같이 하는 SQL 공부] - 데이터 정렬 및 필터링 (ORDER BY, LIMIT) (1) | 2024.10.31 |
[Chat GPT랑 같이 하는 SQL 공부] - 데이터 집계 (GROUP BY, HAVING) (3) | 2024.10.30 |
[Chat GPT랑 같이 하는 SQL 공부] - 데이터 추출 (SELECT문) (1) | 2024.10.29 |
[Chat GPT랑 같이 하는 SQL 공부] - GPT에게 질문하기 (0) | 2024.10.28 |